[참여와 정책]거버넌스에서 퍼실리테이터가 기억해야 할 한 가지

 ▲ 작은 목소리, 깊은 흔적 ©회의설계소 


거버넌스에서 퍼실리테이터가 기억해야 할 한 가지


1️⃣ 그 제안이 정책이 되지 않아도
2️⃣ 문제를 함께 바라보는 일의 가치
3️⃣ 보이지 않아도 남는 것들
4️⃣ 퍼실리테이터는 무엇을 기억해야 할까요?
5️⃣ 지금은 작아 보여도, 천천히 자라는 것들
🧭 잊지 말고 함께 기억하고 싶은 한 가지


1️⃣ 그 제안이 정책이 되지 않아도


“결국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잖아요.”

시민들이 긴 시간 고민하고 애써 만든 정책 제안이 실제로 반영되지 않았을 때, 이런 말을 듣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럴 때 퍼실리테이터로서 마음이 살짝 무거워질 때가 있습니다.

“그래도 그 시간은 분명히 의미 있었어요”라고 말해주고 싶지만,

그 말이 오히려 위로처럼 들리지 않을까 조심스러워지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저는, 조심스레 이렇게 생각합니다.

정책으로 바로 이어지지 않았더라도, 그 참여가 남긴 의미는 분명히 있습니다.

함께 문제를 이야기하고, 고민을 나누고, 지역의 일에 마음을 보탠 그 시간은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분명히 어딘가에 닿아 있을 것입니다.


2️⃣ 문제를 함께 바라보는 일의 가치


시민 참여는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를 내는 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우리 동네’,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함께 바라보고, 그것을 공론의 장으로 옮겨오는 그 자체가 이미 의미 있는 움직임입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개인의 불편’이 ‘공동의 의제’가 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처럼 누군가 처음으로 이야기를 꺼내는 일은, 그 자체로 공동체 안에서 중요한 전환이 됩니다.


3️⃣ 보이지 않아도 남는 것들


물론 제안이 정책으로 실현된다면 기쁘고 보람 있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참여는 여러 흔적을 남깁니다.

👥 함께 이야기하고 의견을 나누는 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가 자라고, 관계가 생기고, 작은 신뢰가 쌓이게 됩니다.

또한 이번 제안이 훗날 비슷한 문제를 이야기하려는 누군가에게

자료가 되고, 선례가 되고, 용기가 되어줄 수도 있습니다.

참여는 그렇게, 다음 사람의 참여 문턱을 조금 더 낮추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작은 목소리가 남긴 깊은 흔적은 그렇게 공동체 안에서 천천히 퍼져갑니다.


4️⃣ 퍼실리테이터는 무엇을 기억해야 할까요?


퍼실리테이터는 이 모든 과정을 가까이에서 함께하는 사람입니다.

워크숍 하나, 회의 하나로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안에는 사람들 간의 관계와 감정, 의미들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 흐름을 잇고, 의미를 붙잡아두는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의 과정이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이어질 수 있을지를 살피는 시선,

그 시선을 가진 사람이 바로 퍼실리테이터라고 생각합니다.

그럴 때 우리는 참여자들의 노력이 순간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도울 수 있고,

과정의 축적이 다음으로 이어지도록 작은 다리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5️⃣ 지금은 작아 보여도, 천천히 자라는 것들


사회적 신뢰나 공론장의 경험은 눈에 잘 띄는 결과로 바로 드러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분명히 어떤 변화는 생겨나기 마련입니다.

👂 타인의 이야기를 듣는 자세가 생기고,

🗣 서로 다른 관점을 존중하는 태도가 자라며,

🤝 공동체 안에서의 관계가 조금 더 부드러워집니다.

이처럼 시민 참여는 다양성이 살아 숨 쉴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

신뢰와 공감이 오갈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는 길을 조금씩 다져나가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잊지 말고 함께 기억하고 싶은 한 가지


시민 참여는 단지 정책을 실현하는 통로가 아닙니다.

그보다 더 깊은 차원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회복하고, 공동체를 다시 묶어내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퍼실리테이터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 참여가 가진 의미를 놓치지 않고, 조용히 기억하고, 다음 흐름으로 연결되도록 돕는 일입니다.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지금 이 자리에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믿습니다.


#창의성 #퍼실리테이션 #퍼실리테이터 #팀워크 #조직개발 #브레인스토밍 #디자인씽킹 #팀빌딩 #회의운영 #참여형워크숍 #의사결정 #퍼실리테이션기법 #협업 #집단지성 #소통기술 #갈등관리 #비즈니스전략 #커뮤니케이션 #공공정책 #문제해결기법 #기업혁신 #리더십개발 #아이디어발굴 #창의적사고 #조직문화 #팀워크강화 #성과관리

#정책제안서 #정책제안 #정책작성법 #정책아이디어 #정책기획  

#공공정책 #정책제안방법 #청년정책 #청년정책제안 #정책제안서작성  

#공감정책 #공공문제 #문제해결 #정책리터러시 #시민제안  

#정책참여 #정책소통 #사회변화 #정책실무 #청년참여 #회의전략 #회의잘하는법